사무용품
사무용품
180×90×74.5
1. 주교관에서 사용하시던 책상180×90×74.5
17.3×13
지학순 주교의 책상 위에는 손수 만든 평생 액자가 놓여 있었다.
작은 지도 위에 얇은 습자지를 씌워 가린 후 가운데를
화살표 모양으로 오려내어 ‘중화(中和)’라는
글자를 향하도록 만든 것이다.
지도 위에는 ‘그날은 오고야 말리라’라는 글자를
붉은색으로 써넣고 ‘예레미야 30.3’이라는 출처를 표시해 놓았다.
2. 책상 위 지도 액자17.3×13
지학순 주교의 책상 위에는 손수 만든 평생 액자가 놓여 있었다.
작은 지도 위에 얇은 습자지를 씌워 가린 후 가운데를
화살표 모양으로 오려내어 ‘중화(中和)’라는
글자를 향하도록 만든 것이다.
지도 위에는 ‘그날은 오고야 말리라’라는 글자를
붉은색으로 써넣고 ‘예레미야 30.3’이라는 출처를 표시해 놓았다.
보라, 그때가 오고 있다. 주님의 말씀이다.
“그때에 나는 내 백성 이스라엘과 유다의 운명을 되돌리겠다.”
주님께서 말씀하신다. “내가 그들의 조상들에게 준 땅으로
다시 그들을 데려와 그들이 그 땅을 차지하게 하겠다.”(예레 30.3)
2-1. 책상 위 지도 액자 확대
보라, 그때가 오고 있다. 주님의 말씀이다.
“그때에 나는 내 백성 이스라엘과 유다의 운명을 되돌리겠다.”
주님께서 말씀하신다. “내가 그들의 조상들에게 준 땅으로
다시 그들을 데려와 그들이 그 땅을 차지하게 하겠다.”(예레 30.3)
3. 여행용 필통
지름4.3, 높이10.5
공문서 발송 할 때 사용한 지학순 주교 문장이 새겨진 인장
4. 주교인장, Wooden Seal with the coat of arms of bishop지름4.3, 높이10.5
공문서 발송 할 때 사용한 지학순 주교 문장이 새겨진 인장
4-1. 주교인장
지학순 주교 문장이 도드라지게 압력을 이용하여 찍는 철제 도장
5. 압인기, Embossing seal Press
지학순 주교 문장이 도드라지게 압력을 이용하여 찍는 철제 도장
지주교님 개인 도장
6. 주교님 도장
지주교님 개인 도장
지주교님 개인 도장
7. 주교님 도장2
지주교님 개인 도장
주교님께서 사용하시던 지칼
8. 지칼
주교님께서 사용하시던 지칼
지주교님께서 사용하시던 타자기
9. 타자기
지주교님께서 사용하시던 타자기
10. 전화기
11. 인터폰
12. 서류가방
13. 여행가방
180×90×74.5
1. 주교관에서 사용하시던 책상180×90×74.5
17.3×13
지학순 주교의 책상 위에는 손수 만든 평생 액자가 놓여 있었다.
작은 지도 위에 얇은 습자지를 씌워 가린 후 가운데를
화살표 모양으로 오려내어 ‘중화(中和)’라는
글자를 향하도록 만든 것이다.
지도 위에는 ‘그날은 오고야 말리라’라는 글자를
붉은색으로 써넣고 ‘예레미야 30.3’이라는 출처를 표시해 놓았다.
2. 책상 위 지도 액자17.3×13
지학순 주교의 책상 위에는 손수 만든 평생 액자가 놓여 있었다.
작은 지도 위에 얇은 습자지를 씌워 가린 후 가운데를
화살표 모양으로 오려내어 ‘중화(中和)’라는
글자를 향하도록 만든 것이다.
지도 위에는 ‘그날은 오고야 말리라’라는 글자를
붉은색으로 써넣고 ‘예레미야 30.3’이라는 출처를 표시해 놓았다.
보라, 그때가 오고 있다. 주님의 말씀이다.
“그때에 나는 내 백성 이스라엘과 유다의 운명을 되돌리겠다.”
주님께서 말씀하신다. “내가 그들의 조상들에게 준 땅으로
다시 그들을 데려와 그들이 그 땅을 차지하게 하겠다.”(예레 30.3)
2-1. 책상 위 지도 액자 확대
보라, 그때가 오고 있다. 주님의 말씀이다.
“그때에 나는 내 백성 이스라엘과 유다의 운명을 되돌리겠다.”
주님께서 말씀하신다. “내가 그들의 조상들에게 준 땅으로
다시 그들을 데려와 그들이 그 땅을 차지하게 하겠다.”(예레 30.3)
3. 여행용 필통
지름4.3, 높이10.5
공문서 발송 할 때 사용한 지학순 주교 문장이 새겨진 인장
4. 주교인장, Wooden Seal with the coat of arms of bishop지름4.3, 높이10.5
공문서 발송 할 때 사용한 지학순 주교 문장이 새겨진 인장
4-1. 주교인장
지학순 주교 문장이 도드라지게 압력을 이용하여 찍는 철제 도장
5. 압인기, Embossing seal Press
지학순 주교 문장이 도드라지게 압력을 이용하여 찍는 철제 도장
지주교님 개인 도장
6. 주교님 도장
지주교님 개인 도장
지주교님 개인 도장
7. 주교님 도장2
지주교님 개인 도장
주교님께서 사용하시던 지칼
8. 지칼
주교님께서 사용하시던 지칼
지주교님께서 사용하시던 타자기
9. 타자기
지주교님께서 사용하시던 타자기
10. 전화기
11. 인터폰
12. 서류가방
13. 여행가방
문서류
주교님께서 사용 하시던 개인 노트로 노트 안에는
주교님의 삶의 신념이었던
“나의 사제로서의 생활 지침”이 적혀 있다.
1. 사제생활 및 개인 노트
주교님께서 사용 하시던 개인 노트로 노트 안에는
주교님의 삶의 신념이었던
“나의 사제로서의 생활 지침”이 적혀 있다.
피정묵상(1952년 5월 1일 오후부터 5월 8일 아침까지)
5월 7일 5품(차부제), 8일 6품(부제) 수품을 앞두고
피정하며 묵상한 내용을 적었다.
“현재까지 내가 하고 있던 생활로써
능히 천주께 의합(意合)하고, 교회가 요구하고 신자들을
성화(聖化)케 할 수 있는 사제가 될 수 있을까?”
1-2. 노트 속 내용- 부제품을 앞둔 피정 묵상
피정묵상(1952년 5월 1일 오후부터 5월 8일 아침까지)
5월 7일 5품(차부제), 8일 6품(부제) 수품을 앞두고
피정하며 묵상한 내용을 적었다.
“현재까지 내가 하고 있던 생활로써
능히 천주께 의합(意合)하고, 교회가 요구하고 신자들을
성화(聖化)케 할 수 있는 사제가 될 수 있을까?”
나의 사제로서의 생활 지침
1. 사제는 첫째 천주의 계명을 지키기 위하여서도 물론
모든 법을 지켜야 할 것이지만 또한 자기의 맡은
직무를 더 잘 이행하기 위하여
제3자에게 약점을 들키지 않기 위해서도
철저히 법을 준행행하여야 할 것이다.
1-3. 노트 속 내용-나의 사제로서의 생활 지침
나의 사제로서의 생활 지침
1. 사제는 첫째 천주의 계명을 지키기 위하여서도 물론
모든 법을 지켜야 할 것이지만 또한 자기의 맡은
직무를 더 잘 이행하기 위하여
제3자에게 약점을 들키지 않기 위해서도
철저히 법을 준행행하여야 할 것이다.
1-4. 노트 속 내용-나의 사제로서의 생활 지침
1-5. 노트 속 내용-나의 사제로서의 생활 지침
1-6. 노트 속 내용-나의 사제로서의 생활 지침
1956년 로마로 유학하여
프로파간다 소속 우르바노대학에서 교회법을 전공함
2. 박사학위 학위 증(1959년)
1956년 로마로 유학하여
프로파간다 소속 우르바노대학에서 교회법을 전공함
주교님께서 칠순을 맞아
동생 지용화에게 보낸 초대의 편지
3. 동생 지용화에게 보낸 초대 편지
주교님께서 칠순을 맞아
동생 지용화에게 보낸 초대의 편지
그러나 답신을 받지는 못했다.
3-1. 동생 지용화에게 보낸 초대 편지
그러나 답신을 받지는 못했다.
서강대학교는 이 땅의 종교적 윤리와 도덕적 가치를
바로잡는데 헌신한 주교님의 공적을 높이 평가하여
이를 찬양하고 기라는 뜻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수여하였다.
4. 명예 문학박사 학위기
서강대학교는 이 땅의 종교적 윤리와 도덕적 가치를
바로잡는데 헌신한 주교님의 공적을 높이 평가하여
이를 찬양하고 기라는 뜻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수여하였다.
주교님은 우리나라 학술과 문화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기에 서강대 대학원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수여하여 그 공적을 찬양하였다.
5. 명예 문학박사 학위 공적서
주교님은 우리나라 학술과 문화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기에 서강대 대학원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수여하여 그 공적을 찬양하였다.
일상 복장
문서류
주교님께서 일상 복장으로 가장 애용하신 모자
1. 모자
주교님께서 일상 복장으로 가장 애용하신 모자
주교님께서 일상 복장으로 가장 애용하신 모자
1-1. 모자
주교님께서 일상 복장으로 가장 애용하신 모자
2. 모자2
3. 안경
3-1. 안경2
4. 검정 가죽지갑
4-1. 검정 가죽 지갑
5. 갈색 허리띠
6. 검정 허리띠
7. 슬리퍼
8. 슬리퍼
9. 겨울 슬리퍼
10. 여름 구두
11. 회중시계
11-1. 회중시계
성직자 복장
사제 각모(司祭角帽) 또는 모관(毛冠)이라고도 한다.
1. 모관
사제 각모(司祭角帽) 또는 모관(毛冠)이라고도 한다.
고귀한 품위를 표상하며, 신앙의 현양을 위하여
또 신자들의 평화와 안녕을 위하여,
그리고 거룩한 교회와 교황을 위하여 죽기까지
피를 흘려야 함을 상징한다.
비레타 위에는 성부 · 성자. 성령을
상징하는 세 개의 각이 있다.
2. 모관
고귀한 품위를 표상하며, 신앙의 현양을 위하여
또 신자들의 평화와 안녕을 위하여,
그리고 거룩한 교회와 교황을 위하여 죽기까지
피를 흘려야 함을 상징한다.
비레타 위에는 성부 · 성자. 성령을
상징하는 세 개의 각이 있다.
주케토는 이탈리아어로 '작은 조롱박'을 의미한다.
주교는 보라색, 추기경은 붉은색, 교황은 흰색을 착용한다.
3. 주께토 Zucchetto(Pileolus)
주케토는 이탈리아어로 '작은 조롱박'을 의미한다.
주교는 보라색, 추기경은 붉은색, 교황은 흰색을 착용한다.
주교님께서 입으시던 클레지 셔츠(성직자들의 평상복)
4. 검정 클레지 셔츠
주교님께서 입으시던 클레지 셔츠(성직자들의 평상복)
주교님께서 입으시던 클레지 셔츠(성직자들의 평상복)
5. 흰색 클레지 셔츠
주교님께서 입으시던 클레지 셔츠(성직자들의 평상복)
수단은 '세속과 육신과 쾌락을 끊고
하느님과 교회에 봉사하기 위해
세속에서는 죽었다'는 뜻을 담고 있다.
수단은 주교의 일반 공적 예복의 대표적인 복장이다.
6. 자색 수단 (talaria)
수단은 '세속과 육신과 쾌락을 끊고
하느님과 교회에 봉사하기 위해
세속에서는 죽었다'는 뜻을 담고 있다.
수단은 주교의 일반 공적 예복의 대표적인 복장이다.
주교는 자신의 교구나 교구 밖에서 어디서든지,
-대축일이 아닌 경우-자주색 수단에
실크로 된 자주색 띠를 두르며,
이 자주색 수단을 입었을 때는
자주색 긴 스타킹도 착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6-1. 자색수단 뒷면 (talaria)
주교는 자신의 교구나 교구 밖에서 어디서든지,
-대축일이 아닌 경우-자주색 수단에
실크로 된 자주색 띠를 두르며,
이 자주색 수단을 입었을 때는
자주색 긴 스타킹도 착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6-2. 자색 끌레지망
붉은색 바느질 선으로 꾸며지고 붉은색의 단춧구멍과
붉은색의 단추로 구성된 (소매 덮개가 없는)검은색 수단이다.
그리고 그 위에 검은색 수단 위쪽으로
수단의 형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선(線) 형태의
장식을 한 팔꿈치까지 내려오는 망토,
술이 달린 자주색 실크 띠, 쇠줄 형태의 목에 걸 수 있는
가슴 십자가, 자주색 필레올루스(pileolus)를 착한다.
검은색 넓은 편한 창이 있는 모자(galero)도 쓸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초록색 장식 끈을 맬 수도있다.
7. 검정 수단
붉은색 바느질 선으로 꾸며지고 붉은색의 단춧구멍과
붉은색의 단추로 구성된 (소매 덮개가 없는)검은색 수단이다.
그리고 그 위에 검은색 수단 위쪽으로
수단의 형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선(線) 형태의
장식을 한 팔꿈치까지 내려오는 망토,
술이 달린 자주색 실크 띠, 쇠줄 형태의 목에 걸 수 있는
가슴 십자가, 자주색 필레올루스(pileolus)를 착한다.
검은색 넓은 편한 창이 있는 모자(galero)도 쓸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초록색 장식 끈을 맬 수도있다.
수단의 허리 위에 두르는 붉은색 넓은 띠이다.
8. 허리띠 Fascia
수단의 허리 위에 두르는 붉은색 넓은 띠이다.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9. 주교 십자가1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9-1. 주교 십자가1 뒷면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10. 주교 십자가2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10-2. 주교십자가2 뒷면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11. 주교 십자가3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11-1. 주교십자가3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12. 주교 십자가4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12-1. 주교 십자가4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13. 주교 십자가5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13-1. 주교십자가5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14. 주교 십자가6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14-1. 주교 십자가6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15. 주교 십자가7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주교의 대표적 표지이며 장신구인 주교 반지는 주교와 자신에게 맡겨진 교회(개별 교회, 보편 교회)와의 일치 의미한다. 주교 서품식 예절 때 주례 주교가 새 주교의 오른손 약지에 끼워 준다.
16. 주교 반지1 (annulus pontificalis)
주교의 대표적 표지이며 장신구인 주교 반지는 주교와 자신에게 맡겨진 교회(개별 교회, 보편 교회)와의 일치 의미한다. 주교 서품식 예절 때 주례 주교가 새 주교의 오른손 약지에 끼워 준다.
주교 반지는 관할 하느님의 백성을 향한 신의의 표지이다. 예전에는 공식 문서에 날인 하거나 공문서를 봉인할 때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신자들이 경의를 표할 때 무릎을 꿇고 이 반지에 입을 맞추기도 하였다.
16. 주교 반지2 (annulus pontificalis)
주교 반지는 관할 하느님의 백성을 향한 신의의 표지이다. 예전에는 공식 문서에 날인 하거나 공문서를 봉인할 때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신자들이 경의를 표할 때 무릎을 꿇고 이 반지에 입을 맞추기도 하였다.
주교님께서 사용 하시던 개인 노트로 노트 안에는
주교님의 삶의 신념이었던
“나의 사제로서의 생활 지침”이 적혀 있다.
1. 사제생활 및 개인 노트
주교님께서 사용 하시던 개인 노트로 노트 안에는
주교님의 삶의 신념이었던
“나의 사제로서의 생활 지침”이 적혀 있다.
피정묵상(1952년 5월 1일 오후부터 5월 8일 아침까지)
5월 7일 5품(차부제), 8일 6품(부제) 수품을 앞두고
피정하며 묵상한 내용을 적었다.
“현재까지 내가 하고 있던 생활로써
능히 천주께 의합(意合)하고, 교회가 요구하고 신자들을
성화(聖化)케 할 수 있는 사제가 될 수 있을까?”
1-2. 노트 속 내용- 부제품을 앞둔 피정 묵상
피정묵상(1952년 5월 1일 오후부터 5월 8일 아침까지)
5월 7일 5품(차부제), 8일 6품(부제) 수품을 앞두고
피정하며 묵상한 내용을 적었다.
“현재까지 내가 하고 있던 생활로써
능히 천주께 의합(意合)하고, 교회가 요구하고 신자들을
성화(聖化)케 할 수 있는 사제가 될 수 있을까?”
나의 사제로서의 생활 지침
1. 사제는 첫째 천주의 계명을 지키기 위하여서도 물론
모든 법을 지켜야 할 것이지만 또한 자기의 맡은
직무를 더 잘 이행하기 위하여
제3자에게 약점을 들키지 않기 위해서도
철저히 법을 준행행하여야 할 것이다.
1-3. 노트 속 내용-나의 사제로서의 생활 지침
나의 사제로서의 생활 지침
1. 사제는 첫째 천주의 계명을 지키기 위하여서도 물론
모든 법을 지켜야 할 것이지만 또한 자기의 맡은
직무를 더 잘 이행하기 위하여
제3자에게 약점을 들키지 않기 위해서도
철저히 법을 준행행하여야 할 것이다.
1-4. 노트 속 내용-나의 사제로서의 생활 지침
1-5. 노트 속 내용-나의 사제로서의 생활 지침
1-6. 노트 속 내용-나의 사제로서의 생활 지침
1956년 로마로 유학하여
프로파간다 소속 우르바노대학에서 교회법을 전공함
2. 박사학위 학위 증(1959년)
1956년 로마로 유학하여
프로파간다 소속 우르바노대학에서 교회법을 전공함
주교님께서 칠순을 맞아
동생 지용화에게 보낸 초대의 편지
3. 동생 지용화에게 보낸 초대 편지
주교님께서 칠순을 맞아
동생 지용화에게 보낸 초대의 편지
그러나 답신을 받지는 못했다.
3-1. 동생 지용화에게 보낸 초대 편지
그러나 답신을 받지는 못했다.
서강대학교는 이 땅의 종교적 윤리와 도덕적 가치를
바로잡는데 헌신한 주교님의 공적을 높이 평가하여
이를 찬양하고 기라는 뜻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수여하였다.
4. 명예 문학박사 학위기
서강대학교는 이 땅의 종교적 윤리와 도덕적 가치를
바로잡는데 헌신한 주교님의 공적을 높이 평가하여
이를 찬양하고 기라는 뜻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수여하였다.
주교님은 우리나라 학술과 문화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기에 서강대 대학원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수여하여 그 공적을 찬양하였다.
5. 명예 문학박사 학위 공적서
주교님은 우리나라 학술과 문화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기에 서강대 대학원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수여하여 그 공적을 찬양하였다.
일상 복장
주교님께서 일상 복장으로 가장 애용하신 모자
1. 모자
주교님께서 일상 복장으로 가장 애용하신 모자
주교님께서 일상 복장으로 가장 애용하신 모자
1-1. 모자
주교님께서 일상 복장으로 가장 애용하신 모자
2. 모자2
3. 안경
3-1. 안경2
4. 검정 가죽지갑
4-1. 검정 가죽 지갑
5. 갈색 허리띠
6. 검정 허리띠
7. 슬리퍼
8. 슬리퍼
9. 겨울 슬리퍼
10. 여름 구두
11. 회중시계
11-1. 회중시계
성직자 복장
전례 복장
사제 각모(司祭角帽) 또는 모관(毛冠)이라고도 한다.
1. 모관
사제 각모(司祭角帽) 또는 모관(毛冠)이라고도 한다.
고귀한 품위를 표상하며, 신앙의 현양을 위하여
또 신자들의 평화와 안녕을 위하여,
그리고 거룩한 교회와 교황을 위하여 죽기까지
피를 흘려야 함을 상징한다.
비레타 위에는 성부 · 성자. 성령을
상징하는 세 개의 각이 있다.
2. 모관
고귀한 품위를 표상하며, 신앙의 현양을 위하여
또 신자들의 평화와 안녕을 위하여,
그리고 거룩한 교회와 교황을 위하여 죽기까지
피를 흘려야 함을 상징한다.
비레타 위에는 성부 · 성자. 성령을
상징하는 세 개의 각이 있다.
주케토는 이탈리아어로 '작은 조롱박'을 의미한다.
주교는 보라색, 추기경은 붉은색, 교황은 흰색을 착용한다.
3. 주께토 Zucchetto(Pileolus)
주케토는 이탈리아어로 '작은 조롱박'을 의미한다.
주교는 보라색, 추기경은 붉은색, 교황은 흰색을 착용한다.
주교님께서 입으시던 클레지 셔츠(성직자들의 평상복)
4. 검정 클레지 셔츠
주교님께서 입으시던 클레지 셔츠(성직자들의 평상복)
주교님께서 입으시던 클레지 셔츠(성직자들의 평상복)
5. 흰색 클레지 셔츠
주교님께서 입으시던 클레지 셔츠(성직자들의 평상복)
수단은 '세속과 육신과 쾌락을 끊고
하느님과 교회에 봉사하기 위해
세속에서는 죽었다'는 뜻을 담고 있다.
수단은 주교의 일반 공적 예복의 대표적인 복장이다.
6. 자색 수단 (talaria)
수단은 '세속과 육신과 쾌락을 끊고
하느님과 교회에 봉사하기 위해
세속에서는 죽었다'는 뜻을 담고 있다.
수단은 주교의 일반 공적 예복의 대표적인 복장이다.
주교는 자신의 교구나 교구 밖에서 어디서든지,
-대축일이 아닌 경우-자주색 수단에
실크로 된 자주색 띠를 두르며,
이 자주색 수단을 입었을 때는
자주색 긴 스타킹도 착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6-1. 자색수단 뒷면 (talaria)
주교는 자신의 교구나 교구 밖에서 어디서든지,
-대축일이 아닌 경우-자주색 수단에
실크로 된 자주색 띠를 두르며,
이 자주색 수단을 입었을 때는
자주색 긴 스타킹도 착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6-2. 자색 끌레지망
붉은색 바느질 선으로 꾸며지고 붉은색의 단춧구멍과
붉은색의 단추로 구성된 (소매 덮개가 없는)검은색 수단이다.
그리고 그 위에 검은색 수단 위쪽으로
수단의 형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선(線) 형태의
장식을 한 팔꿈치까지 내려오는 망토,
술이 달린 자주색 실크 띠, 쇠줄 형태의 목에 걸 수 있는
가슴 십자가, 자주색 필레올루스(pileolus)를 착한다.
검은색 넓은 편한 창이 있는 모자(galero)도 쓸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초록색 장식 끈을 맬 수도있다.
7. 검정 수단
붉은색 바느질 선으로 꾸며지고 붉은색의 단춧구멍과
붉은색의 단추로 구성된 (소매 덮개가 없는)검은색 수단이다.
그리고 그 위에 검은색 수단 위쪽으로
수단의 형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선(線) 형태의
장식을 한 팔꿈치까지 내려오는 망토,
술이 달린 자주색 실크 띠, 쇠줄 형태의 목에 걸 수 있는
가슴 십자가, 자주색 필레올루스(pileolus)를 착한다.
검은색 넓은 편한 창이 있는 모자(galero)도 쓸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초록색 장식 끈을 맬 수도있다.
수단의 허리 위에 두르는 붉은색 넓은 띠이다.
8. 허리띠 Fascia
수단의 허리 위에 두르는 붉은색 넓은 띠이다.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9. 주교 십자가1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9-1. 주교 십자가1 뒷면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10. 주교 십자가2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10-2. 주교십자가2 뒷면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11. 주교 십자가3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11-1. 주교십자가3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12. 주교 십자가4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12-1. 주교 십자가4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13. 주교 십자가5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13-1. 주교십자가5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14. 주교 십자가6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14-1. 주교 십자가6
주교 십자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늘 새기며,
모든 악과 적으로부터 보호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의미를 지닌다.
주교가 모체타나 수단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개별 교회의 주교회의에서 정한
성직자의 일상 복장을 입었을 경우에도
주교는 가슴 십자가를 눈에 보이도록 패용하고,
전례 때에는 장백의를 입고 난 후 가슴 십자가를 패용한다.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15. 주교 십자가7
십자가를 패용하는 가장 큰 의미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기억하고,
그 십자가가 자신을 채찍질하고 더불어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전구로 자신을 수호해 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주교의 대표적 표지이며 장신구인 주교 반지는 주교와 자신에게 맡겨진 교회(개별 교회, 보편 교회)와의 일치 의미한다. 주교 서품식 예절 때 주례 주교가 새 주교의 오른손 약지에 끼워 준다.
16. 주교 반지1 (annulus pontificalis)
주교의 대표적 표지이며 장신구인 주교 반지는 주교와 자신에게 맡겨진 교회(개별 교회, 보편 교회)와의 일치 의미한다. 주교 서품식 예절 때 주례 주교가 새 주교의 오른손 약지에 끼워 준다.
주교 반지는 관할 하느님의 백성을 향한 신의의 표지이다. 예전에는 공식 문서에 날인 하거나 공문서를 봉인할 때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신자들이 경의를 표할 때 무릎을 꿇고 이 반지에 입을 맞추기도 하였다.
16. 주교 반지2 (annulus pontificalis)
주교 반지는 관할 하느님의 백성을 향한 신의의 표지이다. 예전에는 공식 문서에 날인 하거나 공문서를 봉인할 때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신자들이 경의를 표할 때 무릎을 꿇고 이 반지에 입을 맞추기도 하였다.
주교가 예식 때 사용하는 지팡이로 주교의 품위와
관할권을 상징하며, 주교장(主敎杖), 목장(木杖),
목자 지팡이 (baculus)라고도 불린다.
1. 주교 지팡이 (Baculus Pastoralis)
주교가 예식 때 사용하는 지팡이로 주교의 품위와
관할권을 상징하며, 주교장(主敎杖), 목장(木杖),
목자 지팡이 (baculus)라고도 불린다.
네 부분으로 분리되며 자기 교구 안에 서는 굽은 면이
교우들을 향하게 잡고, 자기 교구가 아닌 곳에서는
굽은 면이 자기 쪽으로 향하게 잡는다.
2. 주교 지팡이2 (Baculus Pastoralis)
네 부분으로 분리되며 자기 교구 안에 서는 굽은 면이
교우들을 향하게 잡고, 자기 교구가 아닌 곳에서는
굽은 면이 자기 쪽으로 향하게 잡는다.
주교는 지역의 통치자로서의 명예와 권위에 대한
존중과 가치 때문에 명확한 서면 규정을 통해
주교 지팡이가 나타내는 재치권의 표징을 알려주고 있는 것이다.
3. 주교 지팡이3 (Baculus Pastoralis)
주교는 지역의 통치자로서의 명예와 권위에 대한
존중과 가치 때문에 명확한 서면 규정을 통해
주교 지팡이가 나타내는 재치권의 표징을 알려주고 있는 것이다.
3-1. 주교 지팡이3 상단 장식
너비34, 길이79
프레치오사 주교관은 귀한 광석과 보석으로,
혹은 금이나 은으로 관을 풍성히 장식해 놓은 주교관으로서
기쁨과 충만을 상징하며 대축일이나 장엄 축일,
혹은 미사 중 찬미와 영광을 표현하는 때에 사용되었다.
특히 성무일도의 ‘사은 찬미가’를 노래할 때,
그리고 축일과 대축일 저녁 기도와 미사를 드릴 때의
시작과 끝에, 성당에 입당할 때와 떠날 때,
손을 씻을 때, 장엄 강복을 줄 때 착용하였다.
4. 프레치오사 주교관 (mitra pretiosa)너비34, 길이79
프레치오사 주교관은 귀한 광석과 보석으로,
혹은 금이나 은으로 관을 풍성히 장식해 놓은 주교관으로서
기쁨과 충만을 상징하며 대축일이나 장엄 축일,
혹은 미사 중 찬미와 영광을 표현하는 때에 사용되었다.
특히 성무일도의 ‘사은 찬미가’를 노래할 때,
그리고 축일과 대축일 저녁 기도와 미사를 드릴 때의
시작과 끝에, 성당에 입당할 때와 떠날 때,
손을 씻을 때, 장엄 강복을 줄 때 착용하였다.
너비34, 길이79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지는 않지만
약간의 작은 진주 같은 보석들로 장식되어 있으며
금으로 짠 흰색 실크로 되어 있거나 그냥 금으로 덮힌
단순한 형태의 주교관을 말한다.
이 주교관은 축제적 성격을 띤 날에 사용할 수 있다.
5. 아우리프리기아타 주교관 (mitra auriphrygiata)너비34, 길이79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지는 않지만
약간의 작은 진주 같은 보석들로 장식되어 있으며
금으로 짠 흰색 실크로 되어 있거나 그냥 금으로 덮힌
단순한 형태의 주교관을 말한다.
이 주교관은 축제적 성격을 띤 날에 사용할 수 있다.
너비34, 길이79
단순한 흰색 아마포로 만들어져 다른 장식 무늬가 없고
뒤쪽으로 붉은색 천이 늘어져 있는 형태의 주교관을 일컫는다.
이 주교관 착용 때는 보속과 죽음이 관련되어 있고
회개와 겸손의 의미를 지니며, 특히 자신의
관할 지역 밖에서 주로 사용된다.
자신의 재치권역 내에서는 성금요일과 위령 미사 때
그리고 위령 성무일도 등 죽음과 고난을 의미할 때 사용되었다.
그 외 주교들이 일반 공의회에 참석한다든지
교황의 소집에 의해 모였을 때에도 심플렉스 주교관을 착용한다.
6. 심플렉스 주교관 (mitra simplex)너비34, 길이79
단순한 흰색 아마포로 만들어져 다른 장식 무늬가 없고
뒤쪽으로 붉은색 천이 늘어져 있는 형태의 주교관을 일컫는다.
이 주교관 착용 때는 보속과 죽음이 관련되어 있고
회개와 겸손의 의미를 지니며, 특히 자신의
관할 지역 밖에서 주로 사용된다.
자신의 재치권역 내에서는 성금요일과 위령 미사 때
그리고 위령 성무일도 등 죽음과 고난을 의미할 때 사용되었다.
그 외 주교들이 일반 공의회에 참석한다든지
교황의 소집에 의해 모였을 때에도 심플렉스 주교관을 착용한다.
어깨너비51 전체길이164.5
사제가 미사 때 입는 발끝까지 내려오는 백색의 긴 옷으로
고대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의 어깨에서 발등까지
내려오는 소매 없는 평상복에서 유래되었다.
7. 장백의1 (alba)어깨너비51 전체길이164.5
사제가 미사 때 입는 발끝까지 내려오는 백색의 긴 옷으로
고대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의 어깨에서 발등까지
내려오는 소매 없는 평상복에서 유래되었다.
미사성제 때 가져야할 육신과 영혼의 결백을 상징한다.
8. 장백의2 (alba)
미사성제 때 가져야할 육신과 영혼의 결백을 상징한다.
어깨너비53.5 전체길이101.3
성직자들이 미사와 행렬 등
성사(聖事)집행 때에 수단 위에 입는 옷.
9. 중백의1 (superpelliceum)어깨너비53.5 전체길이101.3
성직자들이 미사와 행렬 등
성사(聖事)집행 때에 수단 위에 입는 옷.
10. 중백의2
11. 중백의3
성직자가 자신의 성무 집행의 표시로
목에 걸쳐 무릎까지 늘어지게 매는 좁고 긴 띠로,
고대 동방에서 사용되던 장식술이 달린
화려한 목도리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영대는 성직자의 직책과 의무, 성덕(聖德)의 상징으로,
사제는 영대를 착용할 때 친구(親口)한다.
12. 금색 영대 (Stola)
성직자가 자신의 성무 집행의 표시로
목에 걸쳐 무릎까지 늘어지게 매는 좁고 긴 띠로,
고대 동방에서 사용되던 장식술이 달린
화려한 목도리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영대는 성직자의 직책과 의무, 성덕(聖德)의 상징으로,
사제는 영대를 착용할 때 친구(親口)한다.
13. 흑색 영대 (Stola)
가로16 세로30
주교가 전례 때 착용하는 적색 장갑
14. 전례용 장갑 백색1 (chirotheca)가로16 세로30
주교가 전례 때 착용하는 적색 장갑
가로13.5 세로20.5
15. 전례용 장갑 백색2가로13.5 세로20.5
16. 전례용 장갑 백색2 자수 문양
17. 전례용 장갑 홍색 자수 문양
가로13 세로36
18. 전례용 장갑 녹색가로13 세로36
가로13 세로36
19. 전례용 장갑 자색가로13 세로36
어깨너비145 전체길이110.5
가톨릭 미사를 드릴 때 겉에 입는 이 예복은
그리스도의 멍에를 상징하는 사제 직무에 대한 표지이다.
금색 제의는 장엄함을 강조하기 위해 착용한다.
20. 일자형 십자가 문양의 금색 희랍식 제의 (Casula)어깨너비145 전체길이110.5
가톨릭 미사를 드릴 때 겉에 입는 이 예복은
그리스도의 멍에를 상징하는 사제 직무에 대한 표지이다.
금색 제의는 장엄함을 강조하기 위해 착용한다.
어깨너비145 전체길이110.5
21. 일자형 십자가 문양의 백색 희랍식 제의 (Casula)어깨너비145 전체길이110.5
21-1. 백색 제의 이름표
가로66.5 세로96.5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 사용하던 로마식 제의
또는 라틴식 제의라 불린다. 장례 미사나 위령성월에 입는
검정색 제의는 죽음과 슬픔을 상징한다.
22. 라틴식 십자가 문양의 검정 라틴식 제의가로66.5 세로96.5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 사용하던 로마식 제의
또는 라틴식 제의라 불린다. 장례 미사나 위령성월에 입는
검정색 제의는 죽음과 슬픔을 상징한다.
가로66.5 세로96.5
22-1. 라틴식 십자가 문양의 검정 라틴식 제의 뒷부분가로66.5 세로96.5
가로66.5 세로96.5
23. 라틴식 십자가 문양의 녹색 라틴식 제의가로66.5 세로96.5
가로66.5 세로96.5
23-1. 라틴식 십자가 문양의 녹색 라틴식 제의 뒷부분가로66.5 세로96.5
가로272 세로55
성직자가 성광이나 다른 신성한 제구들을
잡거나 옮길 때나 성체강복, 성체거동 등의 예식에서
손을 덮는 데 사용한다. 긴 직각형 모양으로
어깨에 걸쳐 가슴 앞쪽의 걸쇠로 고정한다.
24. 어깨보가로272 세로55
성직자가 성광이나 다른 신성한 제구들을
잡거나 옮길 때나 성체강복, 성체거동 등의 예식에서
손을 덮는 데 사용한다. 긴 직각형 모양으로
어깨에 걸쳐 가슴 앞쪽의 걸쇠로 고정한다.
24-1. 어깨보 중앙 자수 문양
전례 용품
성작(Calix) 밑지름10, 입지름7.2, 높이16.8
미사 때 성혈(聖血 : 축성된 포도주)을 담는 잔이다.
1. 성작 (Calix)성작(Calix) 밑지름10, 입지름7.2, 높이16.8
미사 때 성혈(聖血 : 축성된 포도주)을 담는 잔이다.
밑지름13.8 입지름11 높이18.5
2. 성작 2밑지름13.8 입지름11 높이18.5
지름 12
3. 성반 (Patena)지름 12
4. 성작 덮게 (Pulla)
5. 주수병
5-1. 주수병
공동체 미사에 참여할 수 없는 신자들에게
사제나 부제가 성체를 영해주기 위해
성체를 모셔가는 작은 휴대용 성합
6. 병자 영성체용 성합 (pyxis)
공동체 미사에 참여할 수 없는 신자들에게
사제나 부제가 성체를 영해주기 위해
성체를 모셔가는 작은 휴대용 성합
6-1. 병자 영성체용 성합 (pyxis)
병자 영성체용 성합을 넣어 목에
걸고 다니도록 되어 있는 주머니
7. 병자 영성체용 성합 주머니
병자 영성체용 성합을 넣어 목에
걸고 다니도록 되어 있는 주머니
7-1. 병자 영성체용 성합 주머니 안쪽
병자 성사때 사용할 병자성유를 담는 휴대용 용기
8. 병자 성사용 성유통과 케이스
병자 성사때 사용할 병자성유를 담는 휴대용 용기
병자 성사나 병자 영성체때 사용하는 휴대용 영대.
(백색과 자색 양면)
9. 휴대용 영대
병자 성사나 병자 영성체때 사용하는 휴대용 영대.
(백색과 자색 양면)
10. 병자 영성체 세트
주교님께서 소장하고 계시던 디모테오 성인의
유해를 모신 태양 형태의 유해 현시대
11. 성 디모테오 유해와 현시대 (reliquiarium)
주교님께서 소장하고 계시던 디모테오 성인의
유해를 모신 태양 형태의 유해 현시대
성녀 마리아 로사 몰라스 이 바베의 유해를 모신
고딕 성당 형태의 유해 현시대
12. 성녀 마리아 로사 몰라스 이바베 유해와 현시대 (reliquiarium)
성녀 마리아 로사 몰라스 이 바베의 유해를 모신
고딕 성당 형태의 유해 현시대
성녀 페르페누아의 유해를 모신
고딕 성당 형태의 유해 현시대
13. 성녀 페르페투아 유해와 현시대 (reliquiarium)
성녀 페르페누아의 유해를 모신
고딕 성당 형태의 유해 현시대
전례 복장
주교가 예식 때 사용하는 지팡이로 주교의 품위와
관할권을 상징하며, 주교장(主敎杖), 목장(木杖),
목자 지팡이 (baculus)라고도 불린다.
1. 주교 지팡이 (Baculus Pastoralis)
주교가 예식 때 사용하는 지팡이로 주교의 품위와
관할권을 상징하며, 주교장(主敎杖), 목장(木杖),
목자 지팡이 (baculus)라고도 불린다.
네 부분으로 분리되며 자기 교구 안에 서는 굽은 면이
교우들을 향하게 잡고, 자기 교구가 아닌 곳에서는
굽은 면이 자기 쪽으로 향하게 잡는다.
2. 주교 지팡이2 (Baculus Pastoralis)
네 부분으로 분리되며 자기 교구 안에 서는 굽은 면이
교우들을 향하게 잡고, 자기 교구가 아닌 곳에서는
굽은 면이 자기 쪽으로 향하게 잡는다.
주교는 지역의 통치자로서의 명예와 권위에 대한
존중과 가치 때문에 명확한 서면 규정을 통해
주교 지팡이가 나타내는 재치권의 표징을 알려주고 있는 것이다.
3. 주교 지팡이3 (Baculus Pastoralis)
주교는 지역의 통치자로서의 명예와 권위에 대한
존중과 가치 때문에 명확한 서면 규정을 통해
주교 지팡이가 나타내는 재치권의 표징을 알려주고 있는 것이다.
3-1. 주교 지팡이3 상단 장식
너비34, 길이79
프레치오사 주교관은 귀한 광석과 보석으로,
혹은 금이나 은으로 관을 풍성히 장식해 놓은 주교관으로서
기쁨과 충만을 상징하며 대축일이나 장엄 축일,
혹은 미사 중 찬미와 영광을 표현하는 때에 사용되었다.
특히 성무일도의 ‘사은 찬미가’를 노래할 때,
그리고 축일과 대축일 저녁 기도와 미사를 드릴 때의
시작과 끝에, 성당에 입당할 때와 떠날 때,
손을 씻을 때, 장엄 강복을 줄 때 착용하였다.
4. 프레치오사 주교관 (mitra pretiosa)너비34, 길이79
프레치오사 주교관은 귀한 광석과 보석으로,
혹은 금이나 은으로 관을 풍성히 장식해 놓은 주교관으로서
기쁨과 충만을 상징하며 대축일이나 장엄 축일,
혹은 미사 중 찬미와 영광을 표현하는 때에 사용되었다.
특히 성무일도의 ‘사은 찬미가’를 노래할 때,
그리고 축일과 대축일 저녁 기도와 미사를 드릴 때의
시작과 끝에, 성당에 입당할 때와 떠날 때,
손을 씻을 때, 장엄 강복을 줄 때 착용하였다.
너비34, 길이79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지는 않지만
약간의 작은 진주 같은 보석들로 장식되어 있으며
금으로 짠 흰색 실크로 되어 있거나 그냥 금으로 덮힌
단순한 형태의 주교관을 말한다.
이 주교관은 축제적 성격을 띤 날에 사용할 수 있다.
5. 아우리프리기아타 주교관 (mitra auriphrygiata)너비34, 길이79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지는 않지만
약간의 작은 진주 같은 보석들로 장식되어 있으며
금으로 짠 흰색 실크로 되어 있거나 그냥 금으로 덮힌
단순한 형태의 주교관을 말한다.
이 주교관은 축제적 성격을 띤 날에 사용할 수 있다.
너비34, 길이79
단순한 흰색 아마포로 만들어져 다른 장식 무늬가 없고
뒤쪽으로 붉은색 천이 늘어져 있는 형태의 주교관을 일컫는다.
이 주교관 착용 때는 보속과 죽음이 관련되어 있고
회개와 겸손의 의미를 지니며, 특히 자신의
관할 지역 밖에서 주로 사용된다.
자신의 재치권역 내에서는 성금요일과 위령 미사 때
그리고 위령 성무일도 등 죽음과 고난을 의미할 때 사용되었다.
그 외 주교들이 일반 공의회에 참석한다든지
교황의 소집에 의해 모였을 때에도 심플렉스 주교관을 착용한다.
6. 심플렉스 주교관 (mitra simplex)너비34, 길이79
단순한 흰색 아마포로 만들어져 다른 장식 무늬가 없고
뒤쪽으로 붉은색 천이 늘어져 있는 형태의 주교관을 일컫는다.
이 주교관 착용 때는 보속과 죽음이 관련되어 있고
회개와 겸손의 의미를 지니며, 특히 자신의
관할 지역 밖에서 주로 사용된다.
자신의 재치권역 내에서는 성금요일과 위령 미사 때
그리고 위령 성무일도 등 죽음과 고난을 의미할 때 사용되었다.
그 외 주교들이 일반 공의회에 참석한다든지
교황의 소집에 의해 모였을 때에도 심플렉스 주교관을 착용한다.
어깨너비51 전체길이164.5
사제가 미사 때 입는 발끝까지 내려오는 백색의 긴 옷으로
고대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의 어깨에서 발등까지
내려오는 소매 없는 평상복에서 유래되었다.
7. 장백의1 (alba)어깨너비51 전체길이164.5
사제가 미사 때 입는 발끝까지 내려오는 백색의 긴 옷으로
고대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의 어깨에서 발등까지
내려오는 소매 없는 평상복에서 유래되었다.
미사성제 때 가져야할 육신과 영혼의 결백을 상징한다.
8. 장백의2 (alba)
미사성제 때 가져야할 육신과 영혼의 결백을 상징한다.
어깨너비53.5 전체길이101.3
성직자들이 미사와 행렬 등
성사(聖事)집행 때에 수단 위에 입는 옷.
9. 중백의1 (superpelliceum)어깨너비53.5 전체길이101.3
성직자들이 미사와 행렬 등
성사(聖事)집행 때에 수단 위에 입는 옷.
10. 중백의2
11. 중백의3
성직자가 자신의 성무 집행의 표시로
목에 걸쳐 무릎까지 늘어지게 매는 좁고 긴 띠로,
고대 동방에서 사용되던 장식술이 달린
화려한 목도리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영대는 성직자의 직책과 의무, 성덕(聖德)의 상징으로,
사제는 영대를 착용할 때 친구(親口)한다.
12. 금색 영대 (Stola)
성직자가 자신의 성무 집행의 표시로
목에 걸쳐 무릎까지 늘어지게 매는 좁고 긴 띠로,
고대 동방에서 사용되던 장식술이 달린
화려한 목도리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영대는 성직자의 직책과 의무, 성덕(聖德)의 상징으로,
사제는 영대를 착용할 때 친구(親口)한다.
13. 흑색 영대 (Stola)
가로16 세로30
주교가 전례 때 착용하는 적색 장갑
14. 전례용 장갑 백색1 (chirotheca)가로16 세로30
주교가 전례 때 착용하는 적색 장갑
가로13.5 세로20.5
15. 전례용 장갑 백색2가로13.5 세로20.5
16. 전례용 장갑 백색2 자수 문양
17. 전례용 장갑 홍색 자수 문양
가로13 세로36
18. 전례용 장갑 녹색가로13 세로36
가로13 세로36
19. 전례용 장갑 자색가로13 세로36
어깨너비145 전체길이110.5
가톨릭 미사를 드릴 때 겉에 입는 이 예복은
그리스도의 멍에를 상징하는 사제 직무에 대한 표지이다.
금색 제의는 장엄함을 강조하기 위해 착용한다.
20. 일자형 십자가 문양의 금색 희랍식 제의 (Casula)어깨너비145 전체길이110.5
가톨릭 미사를 드릴 때 겉에 입는 이 예복은
그리스도의 멍에를 상징하는 사제 직무에 대한 표지이다.
금색 제의는 장엄함을 강조하기 위해 착용한다.
어깨너비145 전체길이110.5
21. 일자형 십자가 문양의 백색 희랍식 제의 (Casula)어깨너비145 전체길이110.5
21-1. 백색 제의 이름표
가로66.5 세로96.5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 사용하던 로마식 제의
또는 라틴식 제의라 불린다. 장례 미사나 위령성월에 입는
검정색 제의는 죽음과 슬픔을 상징한다.
22. 라틴식 십자가 문양의 검정 라틴식 제의가로66.5 세로96.5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 사용하던 로마식 제의
또는 라틴식 제의라 불린다. 장례 미사나 위령성월에 입는
검정색 제의는 죽음과 슬픔을 상징한다.
가로66.5 세로96.5
22-1. 라틴식 십자가 문양의 검정 라틴식 제의 뒷부분가로66.5 세로96.5
가로66.5 세로96.5
23. 라틴식 십자가 문양의 녹색 라틴식 제의가로66.5 세로96.5
가로66.5 세로96.5
23-1. 라틴식 십자가 문양의 녹색 라틴식 제의 뒷부분가로66.5 세로96.5
가로272 세로55
성직자가 성광이나 다른 신성한 제구들을
잡거나 옮길 때나 성체강복, 성체거동 등의 예식에서
손을 덮는 데 사용한다. 긴 직각형 모양으로
어깨에 걸쳐 가슴 앞쪽의 걸쇠로 고정한다.
24. 어깨보가로272 세로55
성직자가 성광이나 다른 신성한 제구들을
잡거나 옮길 때나 성체강복, 성체거동 등의 예식에서
손을 덮는 데 사용한다. 긴 직각형 모양으로
어깨에 걸쳐 가슴 앞쪽의 걸쇠로 고정한다.
24-1. 어깨보 중앙 자수 문양
전례 용품
성작(Calix) 밑지름10, 입지름7.2, 높이16.8
미사 때 성혈(聖血 : 축성된 포도주)을 담는 잔이다.
1. 성작 (Calix)성작(Calix) 밑지름10, 입지름7.2, 높이16.8
미사 때 성혈(聖血 : 축성된 포도주)을 담는 잔이다.
밑지름13.8 입지름11 높이18.5
2. 성작 2밑지름13.8 입지름11 높이18.5
지름 12
3. 성반 (Patena)지름 12
4. 성작 덮게 (Pulla)
5. 주수병
5-1. 주수병
공동체 미사에 참여할 수 없는 신자들에게
사제나 부제가 성체를 영해주기 위해
성체를 모셔가는 작은 휴대용 성합
6. 병자 영성체용 성합 (pyxis)
공동체 미사에 참여할 수 없는 신자들에게
사제나 부제가 성체를 영해주기 위해
성체를 모셔가는 작은 휴대용 성합
6-1. 병자 영성체용 성합 (pyxis)
병자 영성체용 성합을 넣어 목에
걸고 다니도록 되어 있는 주머니
7. 병자 영성체용 성합 주머니
병자 영성체용 성합을 넣어 목에
걸고 다니도록 되어 있는 주머니
7-1. 병자 영성체용 성합 주머니 안쪽
병자 성사때 사용할 병자성유를 담는 휴대용 용기
8. 병자 성사용 성유통과 케이스
병자 성사때 사용할 병자성유를 담는 휴대용 용기
병자 성사나 병자 영성체때 사용하는 휴대용 영대.
(백색과 자색 양면)
9. 휴대용 영대
병자 성사나 병자 영성체때 사용하는 휴대용 영대.
(백색과 자색 양면)
10. 병자 영성체 세트
주교님께서 소장하고 계시던 디모테오 성인의
유해를 모신 태양 형태의 유해 현시대
11. 성 디모테오 유해와 현시대 (reliquiarium)
주교님께서 소장하고 계시던 디모테오 성인의
유해를 모신 태양 형태의 유해 현시대
성녀 마리아 로사 몰라스 이 바베의 유해를 모신
고딕 성당 형태의 유해 현시대
12. 성녀 마리아 로사 몰라스 이바베 유해와 현시대 (reliquiarium)
성녀 마리아 로사 몰라스 이 바베의 유해를 모신
고딕 성당 형태의 유해 현시대
성녀 페르페누아의 유해를 모신
고딕 성당 형태의 유해 현시대
13. 성녀 페르페투아 유해와 현시대 (reliquiarium)
성녀 페르페누아의 유해를 모신
고딕 성당 형태의 유해 현시대